절대압력, 게이지압력, 지공의 차이점 정리

절대압력이란?

절대압력은 말 그대로 완전한 진공 상태(압력 = 0)를 기준으로 측정한 압력을 말합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접하는 압력은 보통 대기압을 기준으로 한 '게이지 압력'이지만, 절대압력은 대기압을 포함한 전체 압력값이죠.

절대압력이란?

쉽게 말해:

  • 절대압력 = 게이지압력 + 대기압(약 1기압)

예를 들어, 게이지압이 2bar라면 절대압력은 2bar + 1bar = **3bar(abs)**가 됩니다.

왜 절대압력이 중요한가요?

  1. 정확한 설계 기준 제공
    냉동 시스템이나 진공장치, 압축기 등에서는 정확한 압력 기준이 중요합니다. 이때 대기압을 포함한 절대압력이 기준이 되어야 오차 없는 설계가 가능하죠.
  2. 진공 상태 판별 가능
    진공은 대기압보다 낮은 상태를 말하는데, 절대압력을 기준으로 해야 정확한 진공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3. 국제 표준에 따른 측정 방식
    국제적으로는 절대압력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비교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비자가 알아두면 좋은 팁

  • 가정용 제품에서 표시되는 압력은 대부분 게이지압력입니다. 하지만 기술적 데이터 시트나 제품 설명서에서는 절대압력 단위(예: bar(abs), Pa(abs))로 표시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 압력 단위에 따라 혼동이 생기지 않도록 단위를 꼭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이미지 추천 키워드

  • 메인 이미지: 압력 게이지 클로즈업, 게이지와 수치 그래프 조합 이미지
  • 본문 이미지: 절대압력 vs 게이지압력 비교 다이어그램, 진공 상태 설명 인포그래픽

 

앞서 절대압력에 대해 알아봤다면, 이제는 그와 함께 가장 자주 비교되는 **게이지압력(Gauge Pressure)**에 대해 알아볼 차례입니다. 특히 냉동, 공조, 기계 관련 제품을 사용하는 소비자라면, 제품에 표시된 압력이 어떤 기준으로 측정된 것인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게이지압력이란?

게이지압력은 대기압을 기준으로 측정한 압력입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압력계(예: 에어컨 냉매 압력계, 자동차 타이어 공기압 측정기)는 모두 게이지압력을 표시합니다.

즉:

  • 게이지압력 = 절대압력 - 대기압(1기압)

예를 들어, 절대압력이 3bar일 경우, 게이지압력은 3bar - 1bar = **2bar(g)**가 됩니다. 여기서 'g'는 게이지(gauge)를 의미합니다.

왜 게이지압력이 중요한가요?

  1. 실제 사용 환경에 밀접한 측정 방식
    게이지압력은 대기압과의 차이를 보여주므로, 실제 장비나 시스템 운전 시에 바로 적용하기에 편리합니다. 예를 들어, 냉매 압력 체크 시 바로 게이지값으로 확인할 수 있죠.
  2. 측정기기 대부분이 게이지압 표시
    일반 소비자용 제품에 장착된 압력계는 대부분 게이지압 기준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현재 압력이 정상 범위인지, 이상이 있는지 쉽게 판단할 수 있습니다.
  3. 압력 0이 '대기압' 상태를 의미
    게이지압력에서는 0이라는 수치가 '대기압과 동일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진공 상태처럼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은 음수(-)로 표시됩니다.

절대압력과의 차이 정리

구분 기준점 예시 (절대압 3bar)
절대압력 진공(0bar) 3bar(abs)
게이지압력 대기압(1bar) 2bar(g)

소비자가 알아두면 좋은 팁

  • 타이어 공기압, 냉매압력 등 일상적인 측정치는 대부분 게이지압력입니다.
  • 제품 설명서에서 단위가 "bar(g)" 또는 "psig"로 되어 있다면, 이는 게이지압을 의미합니다.
  • 진공 상태일 경우에는 게이지압이 음수로 표시되기도 합니다. 예: -0.5bar(g)

 

진공이란 무엇인가요?

절대압력과 게이지압력에 이어, 이번에는 공조 및 냉동 시스템에서 중요한 개념인 **진공(Vacuum)**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진공 상태는 단순히 '압력이 낮은 상태'가 아니라, 다양한 장비 운용에 있어 매우 중요한 환경 조건이기도 합니다.

진공이란?

진공은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 상태를 의미합니다. 즉, 공기 분자가 거의 없는 상태로, 완전한 진공은 이론적으로 존재하지 않지만, 가능한 한 낮은 압력을 만들어내는 것을 '진공'이라고 표현합니다.

진공은 보통 절대압력 기준으로 측정되며, 압력이 1기압(101.3kPa)보다 낮을수록 진공도가 높은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진공이란

진공의 종류 (진공도 분류)

  1. 저진공 (Rough Vacuum) – 1기압 ~ 약 1kPa 수준
  2. 중진공 (Medium Vacuum) – 약 1kPa ~ 0.1Pa 수준
  3. 고진공 (High Vacuum) – 0.1Pa 이하 수준

가정용 냉동기에서의 진공은 주로 저진공이나 중진공 수준에서 이뤄집니다.

진공이 필요한 이유

  1. 냉매 충전 전 내부 수분 제거
    공조 및 냉동 시스템에서는 냉매를 충전하기 전, 내부에 남아 있는 수분이나 공기를 제거해야 합니다. 이때 진공 작업을 통해 시스템을 건조하고 청정한 상태로 만들 수 있습니다.
  2. 기계 장비의 정확한 운전 조건 확보
    진공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높이거나, 정확한 냉매 순환을 돕는 등 시스템의 성능 향상에 기여합니다.
  3. 부식 및 오염 방지
    공기나 수분이 시스템 내부에 남아있으면, 시간이 지나면서 부식이 발생하거나 성능 저하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게이지압력에서의 진공 표시

게이지압력 기준에서 진공은 음수(-)로 표시됩니다. 예를 들어 -0.8bar(g)로 표시된 경우, 이는 대기압보다 0.8bar 낮은 상태라는 의미입니다.

소비자가 알아두면 좋은 팁

  • 에어컨 설치나 냉매 보충 시 진공 작업은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를 생략하면 냉각 성능 저하 및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진공 상태는 일반적으로 진공펌프와 진공게이지를 통해 측정하고 유지합니다.
  • 냉매 충전 전 반드시 진공 작업을 수행하는 시공업체를 선택하세요.

추천 태그 (SEO)
진공, 냉동 진공, 진공 펌프, 냉매 충전 전 작업, 공조 진공, 진공압력, 진공 작업 필요성, 진공 게이지, 진공이란, 냉동기 진공 원리

이미지 추천 키워드

  • 메인 이미지: 진공펌프 작동 장면, 진공 게이지 클로즈업, 배관 연결된 시스템과 진공 장치
  • 본문 이미지: 진공도 단계 비교표, 냉매 충전 전 진공 작업 다이어그램, 진공 상태 설명 인포그래픽

2025.04.02 - [기계안전점검] - 온도단위 섭씨온도, 화씨온도, 절대온도의 차이점

 

온도단위 섭씨온도, 화씨온도, 절대온도의 차이점

온도는 물체의 따뜻하거나 차가운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이를 측정하기 위해 여러 가지 단위가 사용됩니다. 대표적인 온도 단위로는 **섭씨온도(Celsius), 화씨온도(Fahrenheit), 절대온도(Kelvi

autonics.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