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중량의 정의와 단위, 시설관리 분야에서의 활용 예시를 정리합니다.
비중량이란? 비중과의 차이점과 실무 적용법
‘비중량’은 단위 부피당 무게를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건축·토목·설비 분야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비슷하게 들리는 '비중'과는 개념이 다르며, 무게 중심의 계산이나 하중 산정 시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비중량의 정의, 계산 공식, 그리고 실무 예시를 함께 알아봅니다.
비중량이란 무엇인가?
비중량(Specific Weight)은 단위 부피당 무게를 의미하며,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비중량 = 무게 ÷ 부피
즉, 1m³의 물체가 얼마나 무거운지를 나타냅니다. 단위는 N/m³ (뉴턴 퍼 입방미터)입니다.
중력 가속도를 포함한 값이기 때문에 밀도 × 중력가속도(g)로도 계산됩니다.
비중과 비중량의 차이
항목 | 비중 | 비중량 |
정의 | 밀도의 상대적인 비 | 단위 부피당 무게 |
단위 | 없음 (무차원) | N/m³ (뉴턴/입방미터) |
중력 포함 여부 | 포함되지 않음 | 중력가속도 포함됨 |
공식 | 비중 = 물질밀도 ÷ 기준밀도 | 비중량 = 밀도 × 중력가속도(g) |
비중은 단순 비교 지표인 반면, 비중량은 실제 무게 계산에 직접 사용되는 값입니다.
시설관리 실무에서의 예시
- 건축 구조물 설계: 콘크리트, 철근, 유체 등의 자재 하중 산정 시 비중량 값을 사용합니다.
- 배관 및 탱크 설계: 유체(예: 물, 오일)의 비중량을 이용해 압력, 하중, 펌프 용량 등을 계산합니다.
- 소방설비: 소화탱크에 저장되는 물의 하중은 비중량 × 부피로 계산되어 구조에 반영됩니다.
예) 물의 비중량은 약 9,800 N/m³로, 2m³의 물은 약 19,600N의 하중을 가합니다.
정리 요약
비중량은 단위 부피당 무게를 의미하며, 실무에서 구조하중이나 유체 설계 시 반드시 필요한 개념입니다. 비중과는 전혀 다른 단위와 용도를 가지므로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2025.04.04 - [기계안전점검] - 비중이란? 밀도와의 차이와 시설관리에서의 활용법
비중이란? 밀도와의 차이와 시설관리에서의 활용법
비중의 정의와 계산 방법, 시설관리에서의 실제 적용 사례를 소개합니다. 비중이란? 밀도와의 차이와 시설관리에서의 활용법 비중은 어떤 물질의 밀도가 기준 물질(보통 물)과 비교하여 얼마
autonics.tistory.com